Skip to content

GBIC(지빅) 이 뭘까??

조회 수 19183 추천 수 0 2012.08.02 13:32:19

1. Physical Layer

2. Data link Layer

3. Network Layer

4. Transport Layer

5. Session Layer

6. Presentation Layer

7. Application Layer

 

요렇게

 

OSI 7 layer 중 첫번째 계층 Physical Layer

케이블에 대해서 알아보자 +_+

 

 

g1.jpg

 

광케이블의 종류

 

1) multi mode (2Km 이하)

    : 하나의 광 케이블에 하나의 신호만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코어의 직경이 커서 통로가 넓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할 수는 있지만, 데이터를 먼거리까지 보내기

      힘듭니다. IDC와 같은 일정 규모의 공간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2) single mode (2Km 이상)

    : 여러 신호를 동시에 하나의 광 케이블에 보낼 수 있습니다.

      직경이 작아 통로가 좁기에 많은 정보 전달은 힘들지만, 멀리 가기에는 유리합니다.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백본(중요한 데이터가 많이 흐르는 곳)간에 많이 사용합니다.

 

간단히 싱글모드-장거리(노랑이)와 멀티모드-단거리(주황이)로 기억하면 될듯

 

그렇다면 이제 본론으로 들어와서,

 

GIBIC(Gifabit interface converter) : 기가비트 접속 변환기

 

GBIC type

 

: SC(Square Connector / Subscriber Connector) - 너비 넓은 것

: LC(Local Connector / Lucent Connector) - 너비 좁은 것

 

g2.jpg

 

GBIC

 

- 네트웍스 장치들을 파이버 채널이나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은 광섬유 기반의 전송 시스템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 되는 인터페이스

- GBIC은 직렬 전기 신호들을 직렬 광학신호들로 변환하며, 그 반대로도 변환한다.

- GBIC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대개 1Gbps이상이다. 광섬유들이니까? 예전엔 100짜리광섬유도 있었다곤 하지만 !!!

- GBIC 모듈은 시스템 가동 중에도 교체가 가능하며 네트웍 장치의 능력들을 결정하기 위해 스위치가 사용 할 수 있는 ID와 시스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형태는 SC 타입이다.

 

SFP

 

- Small Form-factor pluggable약자로, GBIC과 같은 역할을 한다. 형태는 GBIC의 절반 크기로 일반적으로 LC형 커넥터를 사용한다.

UTP케이블을 이용하는 것 한가지와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 1000 Base T  : UTP 케이블(거리제한 100m)
- 1000 Base SX : 근거리 (약 2~300m정도, 멀티모드 광케이블)
- 1000 Base LX : 중거리 (멀티모드광케이블 약 500m, 싱글모드 10Km)
- 1000 Base ZX : 장거리 (수십 Km 이상)

1) S/M type : single mode type으로 광 케이블이 single mode이면 single mode type의 GBIC을 끼워야함

2) M/M type : multi mode type으로 광 케이블이 multi mode이면 multi mode type의 GBIC을 끼워야함

 

이거 말고도 더 있다는거 !! 10G에서 쓰는

10G BASE SR : 표준 FDDI MMF 상에서 26미터의 링크 길이를 지원

                  2000 MHz/km MMF (OM3)을 사용하면 최대 300미터의 링크 길이가 가능

10G BASE LR : 표준 싱글 모드 파이버(SMF)(G.652) 상에서 10 km의 링크 길이를 지원

10G BASE ZR : SMF 케이블 상에서 최대 80km의 링크 길이를 지원

 

시스코는 특성을 탐  뭔말이냐면~

즉, 시스코 지빅을 쓰면 L4 스위치도 시스코껄로..

알테온은 그런거 없음!!! 암데나 호환가능

 

g3.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47 grep 옵션~! ADMINPLAY 2010-02-17 22183
146 ethtool 사용법 ADMINPLAY 2009-06-04 22199
145 vim 편집기 색상변경 ADMINPLAY 2009-05-17 22204
144 콘솔에 남는 메세지로그파일로 남기기 ADMINPLAY 2009-07-19 22229
143 FreeBSD CPU 개수 확인 등.(mptable, sysctl) ADMINPLAY 2012-01-16 22277
142 리눅스에서 일정기간 이상된 파일 삭제하기 ADMINPLAY 2009-07-02 22312
141 rsync 에러 ADMINPLAY 2009-05-17 22345
140 ssh, ftp 접근 딜레이 현상 발생시 조치방법 ADMINPLAY 2009-05-28 22426
139 보안서버구축시 아파치 컴파일 중 "can not be used when ... ADMINPLAY 2009-07-04 22440
138 특수문자 정규 표현식 ADMINPLAY 2010-01-27 22495
137 CentOS 5.0~5.1 :: 커널 2.6.17~2.6.24.1 vmsplice 커널버... ADMINPLAY 2009-09-28 22529
136 squid.conf ADMINPLAY 2012-03-07 22738
135 리눅스에서 하드웨어 스팩 보기 dmidecode ADMINPLAY 2009-05-28 22796
134 젠투리눅스 설치기록 ADMINPLAY 2010-04-17 22848
133 crontab 예약실행 file ADMINPLAY 2009-09-22 22863
132 RPM 사용법 정리 ADMINPLAY 2009-12-10 22907
131 Linux 소켓 접속 개수 늘리기 ADMINPLAY 2009-06-17 22954
130 LVS-NAT 구축(Linux Virtual Server) file ADMINPLAY 2009-11-04 22955
129 rpmfind (rpm패키지 검색사이트) ADMINPLAY 2009-06-01 23040
128 CentOS 4.x 에서 yum 실패 대처 ADMINPLAY 2012-06-13 23101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