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파일시스템 생성 mount 및 포맷 ext3 ext4

조회 수 18496 추천 수 0 2012.01.16 15:44:00
1. 파일 시스템 생성

사용 명령어 1 : mke2fs

사용 명령어 2 : mkfs


- mke2fs 설정 파일 : /etc/mke2fs.conf

- mke2fs 를 사용하여 특정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 /etc/mke2fs.conf 의 [defaults] 항목이 기본적으로 적용됨.

ex)
[broko@spalog ~]$ cat /etc/mke2fs.conf 

[defaults]
        base_features = sparse_super,filetype,resize_inode,dir_index
        blocksize = 4096
        inode_ratio = 8192

- ext2 타입으로 포맷하기

# mke2fs -t ext2 /dev/sda1

- ext3 타입

# mke2fs -t ext3 /dev/sda1

- ext4 타입

# mke2fs -t ext4 /dev/sda1

- 옵션 - 

a. Label 지정하여 포맷할경우 옵션에 -L "label명" 을 추가한다.

ex) # mke2fs -t ext4 -L /backup /dev/sda1

b. 배드블록 검사하면서 파일시스템 생성하려면, -c 옵션 추가.

ex) # mke2fs -t ext4 -c /dev/sda1


< 파일시스템 포맷 & 마운트 >

1. # mkdir /sulinux                      // 마운트 포인트 생성

2. # mkfs -t ext4 /dev/sda1          // ext4 파일시스템 생성

3. # mount /dev/sda1 /sulinux    // /dev/sda1 장치를 /sulinux 로 마운트

4. # mount  ( or # df -h )             // 마운트 장치 확인
 


2. mount
- 마운트란? :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원하는, 특정장치를 시스템에 인식시키는 작업.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하려면, 쉘 상태에서 # mount 명령을 타이핑 하거나, /etc/mtab 의 내용을
출력해서 봐도 된다. 내용은 동일.

즉, # mount 명령은 /etc/mtab 파일의 내용을 출력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 /etc/fstab 의 행에 추가해두면, 부팅시 자동으로 mount 됨. }

A. [ 사용 방법 : mount 옵션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

- mount 작업의 실사용 예.

cdrom mount : # mount -t iso9660 /dev/cdrom /media/cdrom

DVD mount : # mount -t iso9660 /dev/dvd /media/dvd

- 사용후 마운트 해제

# umount /media/cdrom ( # umount /media/dvd )

B. [ 원격 마운트 사용방법 ]

# mount -t nfs "NFS 서버 IP주소 또는 호스트명":"/NFS 서버마운트 포인트" "/NFS 클라이언트 포인트"

ex1) # mount -t nfs 192.168.0.200:/web_data /web_data
ex2) # mount -t nfs 192.168.0.201:/db_data /db_data


[ mount 옵션 ]

-f : 실제로 마운트 하지 않고 마운트 가능여부 확인
-r : 쓰기 금지

[ 마운트 가능 타입 ]

adfs, affs, autofs, coda, coherent,  cramfs,  devpts,  efs, ext,  ext2, ext3, hfs, hpfs, iso9660, jfs, minix, msdos, ncpfs, nfs, ntfs, proc, qnx4,  ramfs,  reiserfs,  romfs,  smbfs,  sysv, tmpfs,  udf,  ufs,  umsdos,  vfat, xenix, xfs, xiafs

profile

일요일은 짜빠게뤼~ 먹는날~^^

엮인글 :
http://adminplay.com/74303/d9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67 time.bora.net 시간 동기화후 dovecot 데몬이 죽는 현상 해결 ADMINPLAY 2009-04-27 23895
266 [Linux] too many files 에러가 날때 ADMINPLAY 2009-09-20 23833
265 DRBD(Distributed Replicated Block Device) 에 대해서 ADMINPLAY 2012-01-16 23737
264 [Linux]RedHat Enterprise Linux 5 계열 VNC Server 설정 ADMINPLAY 2009-09-25 23712
263 리눅스에서 실수로 삭제한 파일을 복구 ADMIN 2008-12-10 23597
262 kernel: nf_conntrack: table full, dropping packet. ADMINPLAY 2009-11-26 23587
261 리눅스 로그파일 관리 [로그파일 삭제하는 방법] ADMINPLAY 2009-07-31 23532
260 리눅스 쓸데없는 파일,로그파일 주기적으로 삭제하기 ADMINPLAY 2009-07-02 23524
259 libphp4.so: cannot restore segment prot after reloc: P... ADMINPLAY 2011-02-07 23518
258 리눅스에서 베드섹터 검사명령어 ADMINPLAY 2009-08-18 23513
257 포트 포워딩 도구 ipmasqadm file ADMINPLAY 2009-09-08 23496
256 vi 이용한 파일내용 일괄변경 ADMINPLAY 2010-08-10 23491
255 eAccelerator설치와 PHP 성능 향상 분석 ADMINPLAY 2011-06-22 23474
254 서버 점검 : 자원 및 apache, mysql ADMIN 2008-12-10 23466
253 LVS 기능 및 장점과 설치프로그램 및 적용사이트 ADMINPLAY 2009-11-04 23392
252 Linux 파일 오픈 갯수 확인 ADMINPLAY 2009-05-10 23386
251 X-window 설치 ADMINPLAY 2010-03-24 23361
250 single mode readonly 파티션 rw로 다시 마운트 ADMINPLAY 2008-12-10 23302
249 인터넷 속도 단위 (bps, cps) ADMINPLAY 2009-08-03 23301
248 FreeBSD SSH 접속 안되요 ADMINPLAY 2009-07-14 23280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