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리눅스에서 테잎드라이브 쓰는방법

조회 수 19679 추천 수 0 2009.12.10 19:44:10
**********************************************************************************************
리눅스에서 테잎드라이브 쓰는방법

(주)정보라인-http://www.jbline.co.kr 글쓴이: 강민우(umkangm0@chollian.net)
다른곳에 게시할때 본인에게도 말씀해 주세용
**********************************************************************************************

리눅스에서 테잎을 쓰기전 우선 하드웨어적으로 테잎드라이브의 모듈이 올라오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1. 확인하는 방법.
 우선 부팅후에 프롬프트 창에서 cat /proc/scsi/scsi를 쳐보면 현재 리눅스에 붙어있는 모든 스카시 장비가 나열이 된다.
이곳에서 확인을 해보면 된다. 2. 만약 올라오지 않았을경우 이 경우는 커널에서 옵션을 주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것은 우선 다음의 단계를 따른다.
(커널 재 컴파일)
cd /usr/src/linux make modproper make menuconfig 이것을 하면 메뉴항목이 뜨는데 이곳에서 Magnetic tape 또는 tape ...에 관련된것을 모두 "M"으로 선택을 해준다. (모듈화) 하지만 Yes는 선택을 하지 않도록 한다. make dep make clean make bzImage make install make modules make modules_install cd / lilo <---이 것을 빠뜨리면 부팅이 안된다. 주의할 것! 커널을 재 컴파일을 하는것은 꽤 시간이 소요될것이다. 대략 30-1시간정도. 3. 이제 부팅을 한후 다시 프롬프트 창에서 cat /proc/scsi/scsi를 쳐서 테잎드라이브의 모듈이 올라왔는지 확인! 왠만한경우를 제외하고는 리눅스에서 테잎이 안올라오는 경우는 없다. 4. 테잎구동하기 테잎을 구동하기에는 사실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그럼 차례대로 알아보자. 우선 테잎장치명은 /dev/st0 (첫번째 테잎드라이브) /dev/st1, st2 이런식으로 나가게 된다.
테잎드라이브의 아이디 번호가 아님을 주의하자! 제일먼저 테잎을 명령어를 써서 마운트 언마운트 꺼내기 되감기 등등을해보자.
이것은 mt란 것을 쓰면 편하다. ***mt 쓰기***
mt -f /dev/st0 rewind : 되감기
mt -f /dev/st0 retension : 느슨해진 테잎을 다시 팽팽하게 하기
mt -f /dev/st0 erase : 지우기
mt -f /dev/st0 offline : 테잎 꺼내기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mt에 대한 더 구체적인 옵션은 mt --help, 또는 man mt를 쳐서 확인해보자. 그리고 현재 KDE에서 제공되는 kdat란것도 있다. 이것은 좀더 그래픽적으로 나와서 이해가 더 쉽겠다.
프롬프트 창에서 kdat &를 쳐서 실행해볼것. 별다른 설명이 필요없을 듯 하다. 1) TAR 쓰기 tar 는 유닉스 공통 타잎이며 현재도 가장많이 쓰는 압축방식이다. (예: tar cvf /dev/st0 /minwoo)
tar 압축된 내용살펴보기: tar tvf /dev/st0
tar 압축풀기 : tar xvf /dev/st0 (이 경우 풀기를 원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에 가서 명령을 쳐야된다) 2) dump 쓰기 이것은 윈도우처럼 백업을 받으면 그것에 해당되는 디렉토리 구조까지 통째로 백업을 받는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것이 더 편한 방법이라고 할수도 있겠다.(복구할때 편하기 때문)
dump로서 백업하기 : dump 0uf /dev/st0 /home <- 홈디렉토리 전체를 테입에 쓰기 위해서.. *********dump로 백업한것을 다시 복구하기*********
restore ivf /dev/st0 이렇게 하면 아주 편하게 interactive한 명령모드가 떠서 /home밑에 있는 여러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원하는대로 복원시킬 수 있다.
interactive prompt상에서 쓸 수 있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ls, cd, add, delete, extract, quit 이런식으로 되어져 있기때문에 백업받은 테잎이 마치 현재 디스크처럼 내용전체를
파악, 복구할 수 있다. 아주 편한방법이다.
add를 사용하여 디렉토리나 파일을 지정하게 되고 나중에 extrac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될 때 실제로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에
아까 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선택했던 파일들이 풀리게 된다.. 이상이다.
또한 changer옵션이 들어간 테잎라이브러리 계열은 changer옵션이 들어가 있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게 되는데 현재 
여러가지가 있으며 레드햇에 번들로 들어가져 있는 BRU도 꽤 쓸만한 소프트웨어이며, http://www.freshmeat.net에서
검색을 하면 여러가지가 나타나는데 현재 본인은 amanda, perfect_backup등을 다루어봤다.
기능들은 다들 비슷비슷하며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바란다.
profile

일요일은 짜빠게뤼~ 먹는날~^^

엮인글 :
http://adminplay.com/3849/02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47 리눅스 커널 버전 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사이트 ADMINPLAY 2012-01-16 18181
246 /etc/syslog.conf 의 이해 ADMINPLAY 2012-01-16 17646
245 파일시스템 생성 mount 및 포맷 ext3 ext4 ADMINPLAY 2012-01-16 18496
244 X-Window 설치후 한글 깨짐발생 ADMINPLAY 2012-01-16 18567
243 하드디스크 정보보기 smartctl ADMINPLAY 2011-08-17 36024
242 텍스트 모드 설정 유틸리티 Setup 없다 file ADMINPLAY 2011-07-29 18384
241 리눅스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접근하기. samba ADMINPLAY 2011-07-12 25881
240 eAccelerator설치와 PHP 성능 향상 분석 ADMINPLAY 2011-06-22 23474
239 rsync ssh 포트 말고 다른포트 사용법 ADMINPLAY 2011-06-10 18915
238 phpmyadmin 에 로그인시 The configuration file now nee... ADMINPLAY 2011-06-10 18381
237 ssh 로 상대방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기 ADMINPLAY 2011-05-03 18454
236 sulinux 1.0. 서버 패키지 리스트 ADMINPLAY 2011-04-30 46298
235 snmpd 로그메세지 남기지 않기 ADMINPLAY 2011-04-28 17103
234 iSCSI 설정하기 ADMINPLAY 2011-04-24 25470
233 iscsi-target 설정 에러 모음 ADMINPLAY 2011-04-24 22048
232 CentOS 5.4 Samba 서버 <-> 윈도우7에서 접근 문제 시스템관리짱 2011-03-04 25160
231 tomcat log 쌓이는 것 방지하기 ADMINPLAY 2011-02-17 38076
230 [Linux_CentOS_5.5] 텍스트 모드(Text mode)에서 해상도 변경 file ADMINPLAY 2011-02-11 29217
229 CentOS 5.4 Crond 설치 ADMINPLAY 2011-02-07 19716
228 libphp4.so: cannot restore segment prot after reloc: P... ADMINPLAY 2011-02-07 23518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