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우분투에 Samba 를 설치하자

조회 수 19195 추천 수 0 2010.11.08 17:17:45
1. Samba 설치
sudo apt-get install samba 명령을 통해서 samba를 설치한다.

sooya@sooya-ls50:~$ sudo apt-get install samba
...
  samba
...
--------- IMPORTANT INFORMATION FOR XINETD USERS ----------
The following line will be added to your /etc/inetd.conf file:

#<off># netbios-ssn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usr/sbin/smbd

If you are indeed using xinetd, you will have to convert the
above into /etc/xinetd.conf format, and add it manually. See
/usr/share/doc/xinetd/README.Debian for more information.
Suggested entry (automatically converted using itox):

-----------------------------------------------------------

 * Starting Samba daemons                                                [ OK ]

sooya@sooya-ls50:~$


2. 환경 설정
 sudo gedit /etc/samba/smb.conf

[global] 및 [homes] 에 한글 관련 설정 추가
[global]
   dos charset = cp949
   display charset = UTF8
   unix charset = UTF8


# ... ... 제일 아래 부분에 아래 내용 추가 ... ...

# Home Directory 공유
[homes]
writable = yes

# 지정 Directory 공유
[공유이름]
comment = Project Folder
path=/공유디렉토리/위치
writable = yes

#   create mask = 0700              (??)
#   directory mask = 0700          (??)

3. Password 설정
sudo smbpasswd -userID

4. Samba 재시작
sudo /etc/init.d/samba restart
sooya@sooya-ls50:~$ sudo /etc/init.d/samba restart
[sudo] password for sooya:
 * Stopping Samba daemons                                                [ OK ]
 * Starting Samba daemons                                                [ OK ]
sooya@sooya-ls50:~$


윈도우에서 \\IP_ADDR\ 에 접속하면 project폴더가 보인다. ^^;;;

5. 윈도우 공유 폴더 마운트
1)  기본 명령 (User가 권한을 가지고 한글이 지원가능)
$ sudo mount -t cifs -o uid=<자신의uid>,gid=<자신의gid>,iocharset=utf8,codepage=cp949 //컴퓨터이름/공유이름 /공유할/디렉토리

- cf) ls -n 을 통하여 uid 및 gid 확인 가능함.

2) ID 및 PW 설정이 필요한 경우
$ sudo mount -t cifs -o username=<계정이름>,password=<암호>,uid=<자신의uid>,gid=<자신의gid>,iocharset=utf8,codepage=cp949 //컴퓨터이름/공유이름 /공유할/디렉토리

profile

일요일은 짜빠게뤼~ 먹는날~^^

엮인글 :
http://adminplay.com/28755/1a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메신저 프로그램 사용 포트

리눅스 파일/디렉토리 개수 알기

파일에 대한 기본 지식 [1]

  • l2zeo
  • 2010-05-29
  • 조회 수 19879

리눅스에서 PATH 적용하여 전체 사용자 적용

리눅스 데몬의 종류 (서비스 종류)

vi 이용한 파일내용 일괄변경

[Flash] 크로스 도메인 설정 방법

crossdomain.xml 정책변경에 따른 변경사항.

e2fsck - 파일 시스템 복구 및 검사. - fsck file

리눅스 - htop file

리눅스 서버 부하 점검 - htop 소스설치 file [3]

특수 기호의 영문 이름

OOM : out of memory

clocksource tsc unstable 에러

우분투에 Samba 를 설치하자

CentOS Samba 설정

sftp 포트 변경시 접속

JWPlayer 사용법

안녕하세요'ㅅ' 오늘가입해서 이런질문을 드려봅니다~ 'ㅅ' [1]

리눅스에서 SSD 빠르게 쓰기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