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e2fsck - 파일 시스템 복구 및 검사. - fsck

조회 수 60904 추천 수 0 2010.09.12 04:35:12

리눅스는 부팅단계에서 /etc/rc.d/rc.sysinit 스크립트에 내용에 따라  

fsck 가 /etc/fstab파일을 참조하여  각 마운트된 (디스크)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 한답니다.

그런데 점검도중 파일시스템이 맛텡이가 가버린 파티션이 있다면 부팅이 안된답니다.

그럴때 fsck를 이용하여 우리는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답니다.그럼 이 fsck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 봅시다.

 k-6_izlaen.png

 

부팅 도중에 위와 같은 오류 메시지와 함께 부팅이 멈춰 버립니다. 익숙한 X윈도우 환경은 온데간데 없구요..ㅜㅜ

먼저 우리는 오류 메시지에 대한 정확 한 이해가 필요 합니다. 네이버 영한 사전을 펼치고 모르는 단어를 찾아가며

시스템이 머라고 알리는지 정확하게..아니면 대충이라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저 빨간색 [FAILED] 위의 메시지 입니다.

/dev/sdb1 : UNEXPECTED UNCONSISTENCY : RUN fsck MANUALLY.   <- 바로 이 부분이지요.

 

해석 해보면.. /dev/sdb1 파티션을 메뉴얼에 따라 fsck를 이용하여 체크 하는 도중에 예상치 못한 오류가

있더라. 

우린 어뜨케 해야 할가요? 먼저 root의 비밀번호를 때려 넣어줍니다.

그러면

(Repair filesystem) :

위와 같은 프롬프트가 뜨는데요 파일 시스템을 복구 하란 말이 겠죠 .

우린 오류가 난 부분을 진단해서 고쳐줘야 한답니다.

 

(Repair filesystem):e2fsck /dev/sdb1

와 같이 명령어를 쳐주면 알아서 몽창그리 처리해줍니다. 그럼 이런 저런 메시지가 뜬답니다. 그리고 리부팅을 해주면

아주 잘 부팅이 되는 걸 볼수 있습니다. 참 쉽죠잉~? 한때 제가 이걸 못해서 다시 설치를 했던때가 있었는데..ㅜㅜ;

 

fsck의 여러 가지 옵션을 알아봅시다.

 

먼저  fsck를 이용하여 파일시스템을 점검 할때에는 파티션을 언마운트 시킨후에 해야 한답니다. 안그러면 점검하다가 파일시스템에

되려 손상이 가는 경우가 있을수 있답니다.

 

k-7_izlaen.png

 

위와 같은 명령어로 장치들의 마운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겠죠 .(df명령은 시스템의 파일시스템별 디스크 정보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 할수 있는 명령으로 man페이지를 보고 공부해 두는게 좋아용!)

 

 -f : 이는 파일시스 템이 이상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점검 할때 사용 합니다.

ex) #e2fsck -f /dev/sdb1   

 

-j : 이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작업할때 사용 하는 옵션입니다. 저널링 파일 시스템(보통 ext3)를 대상으로 작업할때

     옵션이 아니라 필수 해줘야 하는 옵션입니다.

ex)#e2fsck -j ext3 /dev/sda1

 

-v : 점검내역 상세 보기

ex)#e2fsck -j ext3 -fv /dev/sda2                   ext3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sda1파티션을 강제로 점검하면서 상세내역도 보는명령

 

-p : 오류 있는 파일 시스템의 자동 복구    (아주 유용한 옵션이랍니다..) 

ex)#e2fsck -b 98304 -p /dev/sda1

 

-y : 수행 과정의 질문에 모두 yes라 응답하는 옵션

ex)#e2fsck -b 98304 -y /dev/sdb1

 

-n :수행 과정의 질몬에 모두 no 로 응답하는 옵션

ex)#e2fsck -b 98304 -n /dev/sdb1

 

-c : 점검 과정에서 찾게된 베드블록을 마킹하여 사용치 못하게 하는 옵션

ex)e2fsck -j ext3 -cv /dev/sda2              (/dev/sda2 파일 시스템내의 배드블록이 있다면 배드블록 아이노드에 마킹하는 작업)

 

 

◈백업 슈퍼블록을 이용한 파일 시스템 복구.

 

위와 같은 많은 방법을 동원하여 복구 하려 해도 안될때 우리는 백업 수퍼 블록을 이용하여야 한답니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의 구조와 수퍼 블록의 정확한 개념, 그리고 백업 슈퍼 블록의 위치를 알아야 한답니다.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경우 대게 슈퍼블록을 이용하여 읽고 쓰기를 하는데 이녀석이 깨지면 끝장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이 슈퍼블록의 위치 바로 ~ 뒤에 저러게의 슈퍼블록 백업 블록이 있는데요 이녀석들을 이용한 복구 방버이죠.

 

먼저 슈퍼 블록과 그의 분신들의 위치를 알아 봅시다.

 

k-8_izlaen.png

 

위와 같이 확인 할수 있습니다.대게 메인 블록이 맛텡이가면 저 백업 블록에 의해 작업하면 된답니다. 몽땅 맛이가면 우리도

맛텡이 가는 거죠 . 단 하나만 살아 있으면 되는 겁니다.

 

실사용 예를 봅시다.

 

#e2fsck -b 57345 -f -j ext3 -y /dev/sda1  ( sda1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을 4번째 슈퍼블록 복사본을 이용하여 강제로 복구 하는데 질의되

                                                            모든 질문에 모두 yes로 대답 하여 하겠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87 <video>의 속성과 메소드 ADMINPLAY 2012-10-29 8232
286 FreeBSD 참고 명령문 ( H/W 정보 확인 방법) ADMINPLAY 2012-10-22 10191
285 GBIC(지빅) 이 뭘까?? file ADMINPLAY 2012-08-02 19184
284 GSLB(Global Service Load Balancing) ADMINPLAY 2012-07-30 10892
283 linux bonding (네트워크 2개를 1개의 인터페이스로 구성) ADMINPLAY 2012-06-26 12454
282 TaskSet 으로 Process의 사용 CPU를 지정해 보자! ADMINPLAY 2012-06-18 10221
281 CentOS 4.x 에서 yum 실패 대처 ADMINPLAY 2012-06-13 23101
280 Centos 6.0 사용장비 교체후 eth0,1이 eth2,3으로 밀리거... ADMINPLAY 2012-05-29 15122
279 스퀴드(squid) 로그 로테이트 방법 ADMINPLAY 2012-05-18 7609
278 Squid 의 캐시 저장 기간 설정 ( refresh_pattern ) ADMINPLAY 2012-05-18 6873
277 rsync 를 이용하여 동기화 할때 특정 폴더 2개 이상 제외하기 ADMINPLAY 2012-05-09 10736
276 allowScriptAccess 설정 l2zeo 2012-05-05 8425
275 HTML5 멀티미디어 태그 - <video>,<audio>,<embed> ADMINPLAY 2012-05-02 8317
274 squid.conf : Reverse Proxy ADMINPLAY 2012-04-13 11862
273 ssh 특정 ip or 특정대역폭만 접속 허용 ADMINPLAY 2012-03-20 19527
272 lighttpd와 Apache의 성능 차이 file [2] l2zeo 2012-03-08 24246
271 squid.conf ADMINPLAY 2012-03-07 22738
270 [squid] 캐시 로그 결과 값(access_log) ADMINPLAY 2012-03-07 19786
269 linux - cp 덮어쓰기옵션 ADMINPLAY 2012-02-24 25692
268 ffmpeg 설치 및 활용 ADMINPLAY 2012-02-07 35508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