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umpe2fs는 파일 시스템의 슈퍼 블럭과 블럭 그룹 정보를 출력해 줍니다.

dumpe2fs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유용한 정보 중에 "Next check after" 인자인데
이를테면, 1Tera의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중 시스템 재가동 시에 파일시스템을 체킹할 경우,
상당히 오랜 시간을 소모하게 되는데, 시스템 운영 중, 다음 파일시스템 체크일을 파악하여,
재가동 전에 파일시스템을 미리 체크하여, 정상 부팅을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
1. NAME
----------------------------------------------------------------------------
ext2, ext3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보여준다.


----------------------------------------------------------------------------
2. SYNOPSIS
----------------------------------------------------------------------------
dumpe2fs [ -bfhixV ] [ -ob superblock ] [ -oB blocksize ] device


----------------------------------------------------------------------------
3. 간략설명
----------------------------------------------------------------------------
- 현재 사용중인 특정 디바이스의 슈퍼블럭과 블럭 정보를 알려준다.
- BSD Fast File system의 dumpfs와 유사하다


----------------------------------------------------------------------------
4. 옵션
----------------------------------------------------------------------------
(1) -b    
파일시스템에 bad system으로 set 되어 있는 블럭을 출력한다.

(2) -ob superblock
- 파일시스템을 검사할 때 블럭단위로 슈퍼블럭을 사용한다.
- 이 옵션은 심각하게 손상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는 것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oB blocksize
-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때 블럭 단위로 블럭 사이즈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 이 옵션 또한 심각하게 손상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는 것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f  
dumpe2fs이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flag가 있더라도강제적으로 파일시스템을 출력하도록 한다.


(5) -h    
슈퍼블럭 정보만 출력한다.


(6) -i    
e2image로 생성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파일시스템 정보를 출력한다.


(7) -x
16진수 형태로 상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 -V    
버전 정보 출력한다.


----------------------------------------------------------------------------
5.  [root@koreasaint ~]# dumpe2fs -h /dev/sda1     (슈퍼블럭만) 
dumpe2fs 1.39 (29-May-2006)
Filesystem volume name:   /boot1
Last mounted on:          <not available>
Filesystem UUID:          9101d99e-5d75-47cc-ab9e-39f24cefb5c4
Filesystem magic number:  0xEF53
Filesystem revision #:    1 (dynamic)
Filesystem features:      has_journal ext_attr resize_inode dir_index filetype needs_recovery sparse_super
Default mount options:    user_xattr acl
Filesystem state:         clean
Errors behavior:          Continue
Filesystem OS type:       Linux
Inode count:              26104
Block count:              104388
Reserved block count:     5219
Free blocks:              72123
Free inodes:              26053
First block:              1
Block size:               1024
Fragment size:            1024
Reserved GDT blocks:      256
Blocks per group:         8192
Fragments per group:      8192
Inodes per group:         2008
Inode blocks per group:   251
Filesystem created:       Tue Apr  8 02:04:45 2008
Last mount time:          Sat Nov 22 19:58:25 2008
Last write time:          Sat Nov 22 19:58:25 2008
Mount count:              25
Maximum mount count:      -1
Last checked:             Tue Apr  8 02:04:45 2008
Check interval:           0 (<none>)
Reserved blocks uid:      0 (user root)
Reserved blocks gid:      0 (group root)
First inode:              11
Inode size:               128
Journal inode:            8
Default directory hash:   tea
Directory Hash Seed:      8ca8de33-10d1-4a76-adfb-82c4dd227d6e
Journal backup:           inode blocks
Journal size:             4114k

profile

일요일은 짜빠게뤼~ 먹는날~^^

엮인글 :
http://adminplay.com/1340/4a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rsync 옵션

Linux에서 로그인 전후 메시지 수정 방법

  • ADMIN
  • 2008-10-15
  • 조회 수 20982

CentOS 설치후 기본언어를 한국어로 바꾸기

디스크 UUID 변경후 하드부팅정보 수정하기

리눅스서버 장애처리및 삭제파일 복구

Centos5 버전에서 메모리 인식 file

history 시간 정보 출력

웹사이트 F5 키 막기

리눅스 vsftp의 root 접속문제

vi 에디터 - 라인 범위정해서 주석처리하기

콘솔에서 로그인이 안될때

압축 : tar / gzip / jar / tbz 사용법

리눅스 계정 삭제, 접속 차단

  • ADMIN
  • 2008-11-03
  • 조회 수 21327

시스템 최적화 - 동시사용자 늘리기위한 커널 조정

리눅스에서 IP 할당하는 방법

OOM : out of memory

리눅스에서 윈도우 공유 폴더 마운트

리눅스에서 계정 생성시 자동으로 디렉토리가 생성되게 하...

  • ADMIN
  • 2008-11-04
  • 조회 수 21625

tar 분할 압축 및 해제 및 특정 디렉토리만 압축

swap 증설작업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