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10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www.krcert.or.kr/index.jsp
인터넷 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를 확인해 보면 해킹과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종 보안도구의 종류와 사용법을 소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Linux 사용자를 위한 간단한 무결성 검사툴 "FCheck" 이 있습니다.

Fcheck 는 간단한 설정으로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 또는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해 파일의 추가, 변경, 삭제여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알려줍니다.
Fcheck 홈페이지인 http://www.geocities.com/fcheck2000/ 에 접속하여 FCheck_2.07.59.tar.gz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그 이전 버전은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풉니다.
[root@saintserver saint]# tar zxvf FCheck_2.07.59.tar.gz

압축을 풀면 다음 파일이 생성 됩니다.
[root@saintserver saint]# ls
fcheck

fcheck 디렉토리에는 다음 파일들이 있습니다.
[root@saintserver saint]# cd fcheck/
DB  README  fcheck  fcheck.cfg  install  license


1. fcheck 파일 수정
[root@saintserver fcheck]# vi fcheck

219번 정도의 line 에  $config="/usr/local/admtools/conf/fcheck.cfg";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다운로드 받은 부분 혹은 fcheck 파일 및 fcheck.cfg 파일들이 위치할 부분으로
수정합니다.

:: 아래와 같이 수정
 219 $config="/home/saint/fcheck/fcheck.cfg";

2. fcheck.cfg 파일 수정
[root@saintserver fcheck]# vi fcheck.cfg

  a) Directory 설정
  Directory 지시자는 무결성 검사를 실행할 경로를 지시합니다. 무결성 검사를 원하는 경로를 지정해 주면됩니다.
  약 25번 라인정도를 보면 #Directory  = /usr/local/admtools/ 라인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 원하는 경로를 추가 합니다.
   26 Directory   = /tmp/
   27 Directory   = /home
   28 Directory   = /usr/local

  b) DataBase
  fcheck 는 최초 실행시의 DB를 저장하여 차후 실행시의 결과와 비교하여 무결성 검사결과를 출력 합니다.
  이때 검사대상 DB 와 검사결과 DB가 저장되는 경로를 DataBase 지시자에서 지정하여 줍니다.
  약 60번 라인정도를 살펴보면 /usr/local/admtools/logs/sol.dbf 부분이 있습니다.
  /home/test 경로에 DB를 저장하고자 할 경우
  DataBase =/home/test/data.dbf 라고 설정해 줍니다.

  c) TimeZone
  TimeZone 을 국가별 시간대에 맞도록 설정합니다. ( 다음은 대한민국 표준시 )
  118 TimeZone        = GMT-9


3. DB 생성
 비교 대상이 되는 DB를 생성 합니다.
[root@saintserver fcheck]# ./fcheck -ac

4. 무결성 검사
[root@saintserver fcheck]# ./fcheck -a

PROGRESS: No individual files to validating

PROGRESS: validating integrity of /tmp/
STATUS:passed...


PROGRESS: validating integrity of /home
STATUS:passed...


PROGRESS: validating integrity of /usr/local
STATUS:passed...

위와같이 정상적으로 무결성 검사가 종료 되었습니다.

cron 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무결성 검사를 실행 할 수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간단한 보안 설정 (TCP Wrapper) ADMINPLAY 2009.05.22 8941
67 홈페이지 변조 대처법 (FTP 계정을 이용한 아이프레임 코... ADMINPLAY 2009.10.15 9043
66 리눅스용 백신 AVG ADMINPLAY 2009.06.04 9088
65 rootkit 검색 프로그램 rkhunter-1.2.9.tar.gz file ADMINPLAY 2009.09.22 9193
64 iptables/sysctl을 이용하여 DDOS SYN 공격 방어하기 ADMINPLAY 2009.05.28 9204
63 웹취약점 점검 ADMIN 2008.11.25 9253
62 해외에서 접근하는 IP 차단하기 ADMINPLAY 2009.11.30 9257
61 iptables 명령어로 ip 차단 법. ADMINPLAY 2009.05.28 9283
60 보안서버 SSL 구동시 비밀번호 자동 입력 및 부팅시 자동 ... ADMINPLAY 2009.03.23 9314
59 mod_security 설치 2.X ADMINPLAY 2009.06.04 9410
58 mod_evasive를 이용한 웹Dos 공격을 막자 ADMINPLAY 2009.05.07 9425
57 apache 웹방화벽 modsecurity용 웹설정 툴, Remo file ADMINPLAY 2009.09.09 9446
56 rootkit 검색 프로그램 rkhunter-1.3.4.tar.gz file ADMINPLAY 2009.09.22 9446
55 SSL 인증서문제 ADMINPLAY 2009.07.19 9477
54 DOS Attack을 막기 위한 간단한 방법 ADMINPLAY 2009.05.22 9568
53 스위칭 허브 상에서의 sniffing 툴 file ADMINPLAY 2009.09.08 9579
52 find 명령어 활용(보안관련) ADMINPLAY 2009.08.08 9599
51 리눅스 - iptables NAT rule ADMINPLAY 2010.03.24 9669
50 64bit 시스템에 ssl 설치 후 실행 시 X509_free 오류 ADMINPLAY 2009.07.19 9702
49 Linux Security ADMINPLAY 2009.07.18 97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