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8.12.14 14:08

useradd (환경설정파일)

조회 수 225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adduser 명령어로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게되면
vi /etc/default/useradd 의 내용을 기본값으로사용하게된다.

아래의 내용은 redhat 7.1 에서의 default 값이다.

   # useradd defaults file
     GROUP=100
     HOME=/home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설명]

   * GROUP=100
     기본 그룹 ID 가 100 으로 설정되어있다는 뜻이다. 이 값은 개인 그룹이 생기기않도록
     해 두었을때만 사용되는 값이다. 이는 /etc/group 에 있는 값이어야한다.

     일반적으로 웹호스팅에서는 개인 그룹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때 이 부분이 필요하다.
     모든 사용자의 그룹을 user 라는 그룹으로 설정하게된다.
    
   * HOME=/home
     추가된 사용자의 home 디렉토리의 상위디렉토리를 나타낸다.

   * INACTIVE=-1
     패스워드 유효기간이 만료된후 언제 이 계정을 사용할수 없게되는지를 하루단위로 설정한다.
     -1 은 결코 계정이 취소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 EXPIRE=
     언제 사용자계정이 만료되어서 사용할수없게 되는지를 나타낸다.
     shadow 패스워드를 사용할때만 적용되는 부분이다. 기본적으로 계정은 만료하지 않으므로
     설정값이 없다.

위내용의 기본적인값은 /etc/login.defs 파일에서 가져와서 사용자를 추가할때 사용된다.

아래는 redhat 7.1 에서의 login.defs 파일이다.

     # *REQUIRED*
     #   Directory where mailboxes reside, _or_ name of file, relative to the
     #   home directory.  If you _do_ define both, MAIL_DIR takes precedence.
     #   QMAIL_DIR is for Qmail
     #
     #QMAIL_DIR      Maildir
     MAIL_DIR        /var/spool/mail   => mail 디렉토리 정의
     #MAIL_FILE      .mail

     # Password aging controls:
     #
     #       PASS_MAX_DAYS   Maximum number of days a password may be used.
     #       PASS_MIN_DAYS   Minimum number of days allowed between password changes.
     #       PASS_MIN_LEN    Minimum acceptable password length.
     #       PASS_WARN_AGE   Number of days warning given before a password expires.
     #
     PASS_MAX_DAYS   99999 => 패스워드 최대 사용 시간
     PASS_MIN_DAYS   0     => 패스워드 변경최소 시간
     PASS_MIN_LEN    5     => 패스워드 최소 길이
     PASS_WARN_AGE   7     => 패스워드 소멸전 경고출력 날짜

     #
     # Min/max values for automatic uid selection in useradd
     #
     UID_MIN                   500  => 최소 UID 값
     UID_MAX                 60000  => 최대 UID 값

     #
     # Min/max values for automatic gid selection in groupadd
     #
     GID_MIN                   500  => 최소 GID 값
     GID_MAX                 60000  => 최대 GID 값

     #
     # If defined, this command is run when removing a user.
     # It should remove any at/cron/print jobs etc. owned by
     # the user to be removed (passed as the first argument).
     #
     #USERDEL_CMD    /usr/sbin/userdel_local

     #
     # If useradd should create home directories for users by default
     # On RH systems, we do. This option is ORed with the -m flag on
     # useradd command line.
     #
     CREATE_HOME     yes   => 홈디렉토리 생성여부

  1. ftp를 이용한 자동 백업 설정

    Date2008.12.14 ByADMINPLAY Views20880
    Read More
  2. Proftp - Passive Port 설정

    Date2008.11.04 ByADMINPLAY Views17130
    Read More
  3. proftpd - ( proftpd.conf )설정파일 설명

    Date2008.12.04 ByADMINPLAY Views22738
    Read More
  4. sftp 는 ssh 데몬에서

    Date2009.11.24 ByADMINPLAY Views19482
    Read More
  5. sftp-server 로깅 설정하기

    Date2012.09.11 ByADMINPLAY Views12285
    Read More
  6. Ubuntu 의 vsftpd 에서 root 접속 허용하기

    Date2013.03.05 ByADMINPLAY Views13413
    Read More
  7. useradd (환경설정파일)

    Date2008.12.14 ByADMINPLAY Views22550
    Read More
  8. useradd 에서 --stdin 옵션

    Date2009.08.18 ByADMINPLAY Views19260
    Read More
  9. Vsftp - Passive Port 설정

    Date2008.11.04 ByADMINPLAY Views22071
    Read More
  10. vsftp 설치 및 속성설명

    Date2009.01.05 ByADMINPLAY Views20802
    Read More
  11. vsftpd.conf 의 주요 설정

    Date2009.07.18 ByADMINPLAY Views18007
    Read More
  12. xferlog 의 각각의 항목

    Date2009.11.26 ByADMINPLAY Views18427
    Read More
  13. yum 서버를 다음으로 (daum)

    Date2012.06.26 ByADMINPLAY Views15235
    Read More
  14. yum 을 이용한 rpm 패키지 다운로드 방법

    Date2014.03.27 ByADMINPLAY Views5989
    Read More
  15. [Linux] sftp 서비스 막기

    Date2009.11.24 ByADMINPLAY Views19402
    Read More
  16. [리눅스]scp, sftp

    Date2009.11.24 ByADMINPLAY Views25039
    Read More
  17. 업로드한 시간과 실제시간과 틀릴경우

    Date2009.05.07 ByADMINPLAY Views18978
    Read More
  18. 일반계정의 ftp 웹으로 접속하기

    Date2009.01.05 ByADMINPLAY Views22925
    Read More
  19. 황당한 정보 1개.리눅스 시스템에서 한 디렉토리내 서브 ...

    Date2012.10.25 Byl2zeo Views101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