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robots.txt 저장 방법 안내

1. 홈페이지 전체가 모든 검색엔진에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
User-agent: *
Disallow: /
2. 홈페이지 전체가 모든 검색엔진에 노출되기를 원할 때
User-agent: *
Disallow:

(Ex1과 비교했을 때 "/"가 빠져 있습니다. robots.txt를 작성하지 않으면 모두 검색허용으로 간주됩니다.)

3. 홈페이지 디렉토리의 일부만 검색엔진에 노출하고 싶을 때
User-agent: *
Disallow: /my_photo/
Disallow: /my_diary/

(이렇게 작성하면 로봇은 my_photo, my_diary라는 폴더에 속한 웹문서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4. 홈페이지 전체가 수집되길 원하지만 특정 검색엔진을 거부하고 싶을 때
User-agent: EvilRobot
Disallow: /

위의 예에서는 "EvilRobot"이라는 이름을 가진 로봇만을 배제하게 됩니다.
('네이버'에 대해서 막고 싶다면 NaverBot을 User-agent로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Naverbot은 네이버 로봇의 이름입니다.)

5. 홈페이지 전체가 수집되길 원하지만 특정 검색엔진에게만 노출되기를 원할 때
User-agent: *
Disallow: /
User-agent: NaverBot
Allow: /
User-agent: Yeti
Allow: /

(이 경우 NaverBot, Yeti 만이 웹문서를 수집해갈 수 있습니다.)

6. 웹로봇의 방문 주기를 지정(초 단위)하고 싶을 때
User-agent: NaverBot
Crawl-delay: 30
User-agent: Yeti
Crawl-delay: 30

이 경우 NaverBot, Yeti는 홈페이지에 포함된 웹문서를 30초 간격으로 수집하게 됩니다.
해당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약 10 ~ 20초 간격으로 1페이지씩 수집을 진행합니다.
다만, 해당 기능은 웹로봇을 운용하는 업체별로 기능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업체별 로봇 운용 현황을 확인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robots.txt"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HTML문서의 (HEAD)와 (/HEAD)태그 사이에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NOFOLLOW, NOARCHIVE")라는 메타태그를 추가하면 로봇은 웹 문서를 색인하거나 저장할 수 없습니다.
이 방법은 다소 번거롭기는 하지만 문서 하나하나에 대해 정확하게 명시를 해주기 때문에 가장 확실하게 로봇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로봇 배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robotstxt.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bots.txt를 서버에 저장하고 로봇이 직접 방문하지 않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본인의 홈페이지 중 일부 내용 혹은 링크 값이 NAVER 웹 문서 검색 결과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웹 문서들이나 사이트들이 해당 웹 문서를 링크한 경우, 그 링크에 제시된 설명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해당 웹 사이트의
robots.txt의 존재유무나 로봇의 동작과는 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

일요일은 짜빠게뤼~ 먹는날~^^

엮인글 :
http://adminplay.com/8449/32a/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7 linux daemon (리눅스 데몬 설명) ADMINPLAY 2014-02-26 648339
366 대용량 HDD 파티셔닝(Mass storage Partitioning) (GPT 파... ADMINPLAY 2010-04-14 74913
365 FFMPEG를 가장쉽게 설치하는 방법(ffmpeg-php 등) ADMINPLAY 2010-05-03 67670
364 rrdtool 컴파일시 에러 configure: error: Please fix the... ADMINPLAY 2009-08-08 66031
363 커널 2.6으로 업그레이드!「A to Z」 ADMINPLAY 2009-08-08 65697
362 e2fsck - 파일 시스템 복구 및 검사. - fsck file ADMINPLAY 2010-09-12 60960
361 Maskrading ADMIN 2008-11-11 60056
360 시스템 백업과 응급 복구 ADMINPLAY 2009-05-11 60001
359 배치파일을 이용한 백업방법 l2zeo 2010-03-31 59627
358 리눅스 전원부터 부팅이 되기까지의 과정이해 ADMIN 2008-11-11 58896
357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와 파티션 관리의 기본 ADMINPLAY 2009-05-22 58844
356 hdparm 세부옵션 ADMINPLAY 2012-01-16 56422
355 CentOS 설치 - VMware 상에서 CentOS 설치하기 file l2zeo 2010-02-24 52161
354 Red Hat Linux 9 ADMINPLAY 2009-09-24 51597
353 Dell OMSA 설치 및 이용방법 ADMINPLAY 2014-08-13 51140
352 2TB이상의 Disk를 사용한 Raid6 구성 ADMINPLAY 2015-08-08 47547
351 sulinux 1.0. 서버 패키지 리스트 ADMINPLAY 2011-04-30 46774
350 ORA-01031: insufficient privileges 오류 ADMINPLAY 2010-02-24 41075
349 [APM] 리눅스에서 Apache, PHP, MySQL 등 제거 방법 ADMINPLAY 2009-06-29 39450
348 AIX 필수 명령어 ADMINPLAY 2009-12-10 39190

Copyright ADMINPLAY corp. All rights reserved.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